본문 바로가기

기타327

세르비아 카메룬 G조 2차전 무승부, 브라질 16강 확정 세르비아와 카메룬 G조 2차전 경기에서 3:3 무승부를 기록했습니다. 양 팀은 서로 화끈한 공격으로 전반 초반부터 주거니 받거니 치열한 접전을 보여줬는데요. 카메룬이 전반28분 선취골을 넣었으나 세르비아가 전반 종료 직전 프리킥 세트플레이를 통해 동점골을 넣었고, 1분도 채 안되서 세르비아가 추가골을 넣어 2:1 역전을 만들었습니다. 세르비아 카메룬 주요장면 하이라이트 3:1로 달아나는 세르비아 카메룬으로썬 전반전 종료 추가시간에만 2골을 얻어맞아 충격이 컸는데요. 충격이 가시지도 않았는데 세르비아가 후반7분 다시 추가 골을 넣어 스코어를 3:1까지 벌립니다. 이쯤 되면 정신적으로 사기가 저하될만 한데도 카메룬은 반격에 성공, 결국 2골을 추가로 집어넣어 3:3을 만듭니다. 특히, 후반에 넣은 카메룬의 .. 2022. 11. 29.
알루미늄, 보크사이트, 탈산제 개념정리 알루미늄(AI)은 가벼운 특성 때문에 많은 사랑을 받고 있으며, 금속 원소 중에서 가장 풍부하고 흔한 원소입니다. 알루미늄은 매우 가벼운 금속이며, 재료공학적으로 높은 평가를 받습니다. 알루미늄으론 고급스러운 표면을 구현하는 동시에 다른 금속에 비해 원하는 색상을 입히는 것도 수월합니다. 그래서 웬만한 제조업에서 알루미늄 가공 기계는 필수적이며 자동차 바퀴(알루미늄 휠)로도 많이 사용됩니다. 알루미늄 특성 그러나 알루미늄은 보통 광물의 골격에 들어있어 분리해내기 무척 어려운데요. 알루미늄은 보통 수산화알루미늄이 풍부하게 들어간 '보크사이트'라는 암석 제련(금속을 분리·추출하여 정제하는 일)을 통해 만드는데 수산화알루미늄의 산화성 때문에 제련·정제가 매우 어려워 19세기 전 알루미늄 가격은 금보다 비쌌습니.. 2022. 11. 28.
미생물과 마이크로바이옴 개념정리 미생물이란(Micro organism) 사람의 눈으로 볼 수 없는 0.1mm 이하의 작은 생물을 말하며 일반적으로 진균, 세균, 바이러스, 조류 등을 포함합니다. 미생물은 약 1,000만 여종이 존재하는 것으로 추정되는데요. 약 38억년전 지구상에 나타난 최초의 생명체로 나타나 지구를 생명체가 살기 적합한 환경으로 바꿨다는 평가를 받습니다. 미생물과 마이크로바이옴 현재 미생물의 유익한 영향으로는 식품발표, 의약소재, 산업공정에 이용된다는 장점이 있지만, 반대로 인간 전염병, 가축 전염병, 식물병 등을 유발한다는 단점도 있습니다. 실제 14세기 인간 전염병인 흑사병으로 약 2,500만명, 20세기 스페인 독감으로 약 2,500 ~5,000만 명이 희생양이 되었습니다. 마이크로바이옴은 인간의 몸에 서식하는 .. 2022. 11. 28.
티타늄이 꿈의 신소재로 불리는 이유 티타늄(Titanium)은 원자번호 22번의 원소로 강철보다 강하고 튼튼하다는 인식이 있지만 티타늄 자체만으로는 전혀 단단하지 않습니다. 티타늄은 다른 재료와 섞어 사용하는 것이 보통이며 알루미늄과 바나듐을 섞어주면 철의 강도와 알루미늄의 가벼운 특성을 모두 갖추게 됩니다. 강하면서 가벼운 티타늄 티타늄 금속은 질량대비 강도 비가 가장 큰 금속으로 강철만큼 강하지만 밀도는 강철의 반 밖에 안됩니다. 그래서 최대한 가벼움이 필요한 항공기 같은 곳에 티타늄 금속이 많이 사용되며, 실제 보잉 787 항공기 무게의 약 15%가 티타늄입니다. 쉽게 말해 강철보다 가벼우면서도 더 강한 티타늄은 항공 우주재료부터 스마트폰, 안경테, 골프채 헤드, 테니스 라켓, 시계 같은 일상용품, 그리고 인공 관절이나 뼈 같은 생체.. 2022. 11. 28.
타이어 제조공정 내용정리 타이어 하나를 만들기 위해선 생각보다 매우 정교한 과정이 필요해 여러 단계 공정을 거치게 됩니다. 크게 타이어 제조공정은 정련공정, 압출공정, 압연공정, 비드공정, 성형공정, 가류공정, 검사공정 및 출하 7단계로 나뉘는데요. 각 공정별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정련공정 압출공정 압연공정 비드공정 성형공정 가류공정 검사공정(출하) 타이어 제조공정 프로세스 정련공정 쉽게 말해 타이어 각 부품에 들어가는 재료를 배합하는 과정입니다. 타이어는 다양한 특성의 고무층이 하나의 물체를 이루고 있습니다. 이를 컴파운드라고 하는데, 예를 들어 타이어 노면과 접촉하는 부분은 충격을 흡수·완화할 수 있는 탄성이 필요하며, 사이드면은 갈라짐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내피로도가 우수해야 하고, 내면쪽은 고온을 쉽게 방출할.. 2022. 11. 25.
전력량 단위 와트시 개념정리 와트(Wh)는 국제표준 전력 기본단위로 1초 동안 생산 또는 소비되는 전력량을 의미합니다. 그러나 우리는 일상생활에서 와트시(Wh)로 표기하는데요. 와트시 표기로 한 시간 동안 전력 소모량이 얼마인가를 보여주며 보통 4인 가족의 한 달 평균 전기 사용량은 350 kWh로 알려져 있습니다. 그런데 발전소와 같이 전력량이 매우 큰단위로 커질 땐 와트가 아니라 천 단위인 킬로(kilo)를 붙여서 킬로와트(KW), 백만 단위 mega를 붙여서 메가와트(MW), 10억 단위인 Giga를 붙여서 기가와트(GW), 1조 단위인 Tera를 붙여서 테라와트(TW)를 사용합니다. 전 세계 전력생산량 규모 보통 원자력 발전소의 원자로 1기는 1GW 정도 전력을 생산하고, 화력발전소는 그 절반인 0.5GW 정도 전력생산이 가.. 2022. 11. 24.